EverGiver

03.18 - 네이버, 라인 넥스트와 NFT 협업 본문

취뽀/경제신문스크랩

03.18 - 네이버, 라인 넥스트와 NFT 협업

친절한개발초보자 2022. 3. 18. 08:49
728x90
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네이버, 라인 넥스트와 NFT 협업

기사링크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2031713398056063
본문
(본문 내용 복사)
네이버가 글로벌 메신저 플랫폼 라인의 대체불가토큰(NFT) 플랫폼 자회사인 라인 넥스트와 파트너십을 맺고 NFT 분야 협업을 모색한다. 라인 넥스트는 지난 16일 게임, 엔터테인먼트, 아트,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 26개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NFT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을 선언한 바 있다.  


네이버는 라인 넥스트에서 개발 중인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에 네이버의 기술 및 콘텐츠를 결합해 국내 사용자들에게 더욱 친근하고 편리한 NFT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도시’는 NFT 제작, 발행, 마케팅, 거래까지 모두 가능한 올인원 글로벌 NFT 퍼블리싱 플랫폼이다. 해당 플랫폼에서 전세계의 기업과 크리에이터들이 손쉽게 NFT 브랜드 스토어와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NFT 제작 및 마케팅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양사는 ▲네이버 아이디(ID) 기반의 블록체인 월렛 환경 ▲네이버페이를 통한 NFT 결제 환경을 ‘도시’ 플랫폼에 연내 구축한다. ▲네이버 나우 등을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분야 NFT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한재영 네이버 사업개발센터장은 “네이버의 기술과 콘텐츠 경쟁력을 바탕으로 네이버 사용자들에게 NFT를 활용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라인 넥스트와 긴밀히 협업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① 라인 넥스트는 지난 16일 게임, 엔터테인먼트, 아트,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 26개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NFT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을 선언한 바 있다.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1. NFT란?
    1.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이라는 뜻으로,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대표하는 토큰을 말한다.
    2.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지만, 기존의 가상자산과 달리 디지털 자산에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고 있어 상호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3.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가상자산을 말한다.
    4. 이는 자산 소유권을 명확히 함으로써 게임·예술품·부동산 등의 기존 자산을 디지털 토큰화하는 수단이다. 
    5. NFT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따라서 최초 발행자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어 위조 등이 불가능하다. 
    6. 또 기존 암호화폐 등의 가상자산이 발행처에 따라 균등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반면 NFT는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담고 있어 서로 교환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2. 라인 넥스트 ‘도시(DOSI)’
    1. 라인넥스트는 파트너사들의 지적재산권(IP), 아티스트, 콘텐츠 등에 라인의 기술을 적용해 새로운 NFT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2. 라인넥스트가 출시 준비 중인 NFT 플랫폼 ‘도시(DOSI)’에서도 새로운 NFT를 거래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3. 도시는 전 세계 기업과 창작자가 쉽게 NFT를 발행하고 판매하고 이용자끼리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개발되고 있다.

  3. 파트너 기업
    참여하는 기업들은 총 26개의 기업으로, 소프트뱅크(SoftBank Corp.), 네이버(NAVER), 라인 대만(LINE Taiwan Limited), 네이버제트(NAVER Z), 네이버웹툰(NAVER WEBTOON Ltd.), 라인스튜디오(LINE studio), 라인게임즈(LINE Games), 씨제이이엔엠(CJ ENM), 와이지플러스(YG PLUS), 해시드(Hashed), 케이옥션(K Auction), 신세계(SHINSEGAE), 비자(VISA), 크립토닷컴(Crypto.com), 에이펀 인터렉티브(Afun Interactive), AI 네트워크(AI Network), 제이앤존(J&John), K현대미술관(KMCA),  로드 컴플릿(LoadComplete), 롯데월드(LOTTE WORLD), 미티컬 게임스(Mythical Games), 판게아(Pangea), 피치스 (Peaches.), 111퍼센트(111%),  리치에일리언(Rich Alien),  와우포인트(WOW POINT) 등이다.
요약 및 의견
for 경제신문스크랩
스터디용 
정말로 기술의 발전은 끝이 없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2007년 1월 9일 스티븐  잡스의 아이폰 공개 후 15년이 지난 지금, 블록체인 기술, 클라우드 등 엄청난 기술들이 나타났다. 이제는 NFT를 활용하여 거래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NFT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IT 분야는 새로운 기술이 언제 나타나도 이상하지 않은 것 같다. 나도 IT 업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꾸준히 공부하고 새로운 기술을 꾸준히 찾아봐야겠다.
적용할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① NFT를 통한 거래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 이슈는 어떻게 해결하실 계획이신가요?
② 플랫폼 개발 시, FE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연관기사 링크 네이버, 라인 넥스트와 NFT 협업…도시(DOSI) 플랫폼에 결제시스템 구축

네이버, 라인 넥스트와 NFT 협업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