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티스토리 (214)
EverGiv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OcAd/btrLWmvncM1/xoeoI6SUWY038QQHKZy1zK/img.png)
집합 자료형은 어떻게 만들까? >>> s1 = set([1,2,3]) >>> s1 {1, 2, 3} >>> s2 = set("Hello") >>> s2 {'e', 'H', 'l', 'o'} 집합 자료형의 특징 중복을 혀용 하지 않는다. 순서가 없다. - 리스트나 튜플은 순서가 있기 때문에 인덱싱을 통해 자료형의 값을 얻을 수 있다. - set 자료형이나 딕셔너리는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으로 값을 얻을 수 없다. >>> s1 = set([1,2,3]) >>> l1 = list(s1) // 리스트로 변환 >>> l1 [1, 2, 3] >>> l1[0] 1 >>> t1 = tuple(s1) // 튜플로 변환 >>> t1 (1, 2, 3) >>> t1[0] 1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구하기 >>> s1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PrnB/btraIm1lqmV/BJp3ouBkgD3vgiVqIHmMN0/img.png)
overflow:hidden : 내가 선택한 대상 태그의 가로세로 값을 넘어간 글자 및 이미지 기타 내용들을 전부 잘라버리는 기능 overflow:scroll : 기타 내용들을 스크롤을 만들어서 볼 수 있게 해주는 기능 overflow:auto ★ : 가로세로 값 넘어간 내용물들을 잘라내지 않고 스크롤을 만들어서 볼 수 있게 만들어주는 기능 (딱 필요한 만큼만 스크롤 만들어준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mqMz/btrLLAJrN7t/vjGH1cvRPI2CYFfofHSg10/img.png)
여백 계산법 웹사이트 상에서 똑같은 간격과 똑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는 부분을 만들어줄 때 사용하는 계산법 계산법 - (총 가로길이 - 여백 개수 * 임의의 여백 사이즈) / 한 줄의 내용물의 개수 ex) (1500 - 3*20) / 4 ※ 여백 개수 = 한 줄의 내용물의 개수 - 1 ※ 임의의 여백 사이즈 = 보통 10~30px 사이를 많이 주고 20px을 가장 많이 넣어준다. 여백 계산법을 완료했을 때 들어가야 하는 필수 css 속성들 1. 계산해서 나온 값을 width에 넣어줄 것 2. 여백 - margin-left 입력 (margin-right도 상관없다) 3. 가로배치 - float:left; 4. 첫 번째 태그에 들어가 있는 여백 빼주기 - ?:nth-child(1){margin-left:0px..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5lY01/btrLWl4hHKx/b1nkgW8BfK1rhWEmjhgCU1/img.png)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배치하는 float 속성 태그처럼 문단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이미지를 나란히 표시해야 할 경우가 있다. 태그는 블록 레벨 요소이므로 이미지와 나란히 한 줄에 배치할 수 없다. 이런 경우 float 속성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고 그 주변에 텍스트가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float 속성은 웹 요소를 문서 위에 떠 있게 만든다. ('떠 있다'는 의미는 요소가 왼쪽 구석이나 오른쪽 구석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 display:block 속성에 사용하는 css속성으로 세로 배치를 가로 배치로 전환 종류 설명 left 해당 요소를 문서의 왼쪽에 배치한다. right 해당 요소를 문서의 오른쪽에 배치한다. none 좌우 어느 쪽에도 배치하지도 않는다. (기본값) float 속성을 해제하는 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Vkms/btrLPnhLnyf/k3hXwiM0CV9iamH3IFoLVK/img.png)
목록 태그 특징 - 목록 태그도 display:block이기 때문에 div처럼 쓰면 된다. ⅰ) 가로, 세로 값 ⅱ) 배경색 넣기 ⅲ) 아이디 및 클래스 사용 - 목록 태그는 그냥 사용하면 글자 왼쪽 동그라미 아이콘(불릿)이 생긴다. → 이것을 없애주는 css속성을 맨 처음에 사용한다. → li{list-style:none} - 아무 때나 사용하는 게 아닌 목록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존재들에만 사용한다. (목록 기준 - 비슷한 내용을 가진 개체가 3개 이상 있으면 목록이라 생각하자) 순서 있는 목록을 만드는 , 태그 → 각 항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 - 태그의 type, start 속성 종류 설명 type = "1" 숫자(기본값) type = "a" 영문 소문자 type = "A" 영문 대문자 type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m6RZ/btrLOmpSQqf/OVCRUIoEy6uHzE2dXOUoRk/img.png)
딕셔너리란? Key와 Value를 한 쌍으로 갖는 자료형 리스트나 튜플처럼 순차적으로 해당 요소값을 구하지 않고 Key를 통해 Value를 얻는다. 딕셔너리는 어떻게 만들까? {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 >>> dic = {'name':'pey', 'phone':'0119993323','birth':'1118'} Key Value name pey phone 0119993323 birth 1118 딕셔너리 쌍 추가, 삭제하기 딕셔너리 쌍 추가하기 >>> a = {1: 'a'} >>> a[2] = 'b' // {2: 'b'} 쌍 추가 >>> a {1: 'a', 2: 'b'} >>> a['name'] = 'pey' >>> a {1: 'a', 2: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