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Giver
Permission of Linux System 본문
728x90
파일 접근 권한 관리 (File Permission)
- 파일의 속성
- 다중 사용자 시스템의 특징
▷ 여러 사람이 하나의 시스템을 사용
▷ 다른 사람이 내 파일을 읽거나 수정, 삭제할 수 없도록 보안 기능이 필요 (Linux는 높은 확률로 server로 사용되며 다중 사용자들이 하나의 machine에 접속(
▷ 다른 사용자의 무단 접근으로부터 자신의 파일을 보호하는 기능으로 파일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권한만큼만 파일을 사용하도록 한다.
- ls -l 명령
파일이 속한 그룹
- 사용자명 지정
- 인자로 지정한 사용자가 속한 그룹 이름 출력 - 인자가 없으면
- 자신이 속한 그룹의 사용자 이름 출력
groups [사용자명]
접근 권한
- 리눅스의 사용자 카테고리
- 소유자
▷ 일반적으로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 명령을 통해 변경도 가능하다
- 그룹
▷ 파일과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
▷ 파일이 속한 그룹?
→ 일반적으로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의 기본 그룹
→ 상위 디렉토리에 특수한 권한이 부여된 경우 다른 그룹으로 지정
→ 명령을 이용하여 변경 가능
▷ 기타 사용자
→ 소유자나 그룹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은 모든 사용자들
-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권한을 각각 부여할 수 있다. - 접근 권한의 종류
- 기본 권한
▷ 읽기(r, Read), 쓰기(w, Write), 실행(x,eXecution)
▷ 파일의 종류에 따라 의미 다르다.
모드 | 일반 파일 | 디렉토리 파일 | 특수 파일 |
일기 (r) | 파일 내용을 읽거나 복사할 수 있다. | ls 명령으로 디렉토리 목록을 읽을 수 있다. (ls 명령의 옵션은 실행권한이 있어야 한다.) | read()를 사용하여 파일을 읽을 수 있다. |
쓰기 (w) | 파일을 수정/이동/삭제 시킬 수 있다. (디렉토리에 쓰기 권한이 있어야 한다.) |
디렉토리내에 파일을 생성, 삭제할 수 있다. | write()를 사용하여 파일에 쓸 수 있다. |
실행 (x) | 파일을 실행 시킬 수 있다. (실행 가능한 파일의 경우) |
cd 명령을 이용하여 디렉토리로 이동할 수 있다. 파일을 디렉토리로 이동하거나 복사할 수 있다. |
아무런 의미가 없다. |
- 접근권한 표기방법
- 문자의 의미
▷ r : 읽기 허가, w : 쓰기 허가, x : 실행 허가, - : 사용할 수 없음
- 다양한 사용 권한 조합
기호를 이용한 파일 접근 권한 변경
- 자신이 소유한 파일의 사용 권한을 변경
- 옵션
- -R : 하위 디렉토리까지 모두 변경 - 모드
- 변경할 사용 권한 표시
- 종류 : 기호 모드, 8진수 모드
chmod [옵션] 모드 파일명
- 기호를 이용하여 접근 권한 표현
숫자를 이용한 파일 접근권한 변경
- 숫자 모드
- 숫자를 이용하여 접근 권한 표현
- 모든 카테고리의 접근 권한을 동시에 조정할 때 기호 모드보다 편리
- 각 카테고리 별로 접근 권한을 하나의 8진수로 표현
- 3개의 8진수를 사용하여 전체 접근권한 표기 - 표시 방법
728x90
'전공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ic of Linux File System (0) | 2022.03.27 |
---|---|
Linux Administrator Command <System Management> (0) | 2022.03.27 |
Linux Administrator Command <User Management> (0) | 2022.03.27 |
Linux Administrator Command (0) | 2022.03.27 |
Linux VI/VIM and GCC Usage (0) | 2022.03.2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