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Giver

7.1 개요 본문

전공/컴퓨터 네트워킹

7.1 개요

친절한개발초보자 2021. 10. 8. 09:52
728x90

[그림 7.1] 무선 네트워크의 요소

무선 네트워크 구성 요소
  • 무선 호스트 (wireless hosts)
    : 유선 네트워크의 경우처럼 호스트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종단 시스템 장치이다.
      - 랩톱이나 태블릿, 스마트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일 수 있다.
      - 호스트는 이동성을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 무선 랜 (wireless links)
    : 호스트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기지국(base station)이나 다른 무선 호스트에 연결된다.
      - 여러 가지 무선 랜 기술들은 전송 속도와 전송 거리면에서 차이가 있다.
      - 무선 랜 표준들의 주요 특징의 중요한 두 가지 성질 (전송 속도와 전송 영역)
      - 전송속도는 거리, 환경, 사용자 수에 따라 표시된 것보다 빠르거나 느릴 수 있다.
      - 그림 7.1을 보면 무선 랜은 네트워크 경계에 있는 호스트를 중심부에 있는 네트워크 기반구조로 연결해 준다. 
      - 무선 랜은 네트워크 내부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라우터, 스위치 등 다른 네트워크 장치들 사이를 연결해 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림 7.2] 무선 네트워트 표준들의 링크 특징
  • 기지국 (base station)
    : 무선 네트워크 기반구조의 핵심 부분이다.
      - 기지국에 대응되는 요소가 유선 네트워크에서는 없다.
      - 기지국은 기지국에 결합(association)된 무선 호스트와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책임을 진다.
      - 종종 자신과 결합되어 잇는 다수의 무선 호스트들 사이의 전송을 중재하고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무선 호스트가 어떤 기지국에 "결합되어 있다"는 것의 의미
        (1) 호스트가 해당 기지국의 무선 통신 영역 안에 있으며
        (2) 호스트가 자신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중계(relay)를 위해 행당 기지국을 사용한다는 것
      - 셀 타워(cell tower)와 802.11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AP (access point)가 기지국에 해당하는 예
      - 무선 호스트와 나머지 네트워크 부분과의 링크 계층 중계 기능을 제공
      - 기지국에 접속된 호스트는 인프라스트럭처 방식(infrastructure mode; 기반구조 방식)으로 동작
         → 기지국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가 기존의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주소 할당과 라우팅 등)를 제공하기 때문
      - 반면 애드 훅(ad hoc) 네트워크에서는 무선 호스트는 연결할 수 있는 기반구조가 없다.
        → 호스트는 기반구조 없이 스스로 라우팅, 주소 할당, DNS와 같은 이름-주소변환(DNS-like name translation) 등을 수행해야 한다.
      - 핸드오프(handoff)
        : 이동 호스트가 한 기지국 영역을 벗어나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중심부에 잇는 큰 네트워크로의 접속점을 변경(결합된 기지국을 변경)하는 과정
  • 네트워크 기반구조(network infrastructure)
    : 무선 호스트가 통신하고자 하는 큰 네트워크이다.
  • 단일 홉, 기반구조 존재 (single-hop, infrastructure-based)
    - 인터넷과 같이 보다 큰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기지국을 가지고 있다.
    - 모든 통신은 이 기지국과 무선 호스트 사이에 단일 무선 홉으로 이루어진다.
    - 802.11 네트워크 / 4G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 단일 홉, 기반구조 없음 (single-hop, infrastructure-less)
    -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기지국이 없다.
    - 단일 홉 네트워크안의 하나의 노드가 다른 노드들의 전송을 중재, 조정할 수 있다.
    - 블루투스 네트워크(Bluetooth networks)와 애드 혹(ad hoc) 형태의 802.11 네트워크
  • 다중 홉, 기반구조 존재 (multi-hop, infrastructure-based)
    - 보다 큰 네트워크와 연결된 기지국이 존재
    - 일부 노드들은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하여 다른 무선 노드들의 중계를 거쳐야 한다.
    - 일부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와 소위 무선 메시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 다중 홉, 기반구조 없음 (multi-hop, infrastructure-less)
    - 기지국이 없으며, 노드들은 메시지를 목적지에 보내기 위해 여러 개의 다른 노드들의 중계를 거칠 수 있다.
    -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mobile ad hoc network, MANET)
      : 노드들은 이동성이 있어 노드들 간의 연결성이 변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
    -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
      : 이동 노드가 차량인 경우
728x90

'전공 > 컴퓨터 네트워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7.6 이동 IP  (0) 2021.10.14
7.5 이동성 관리: 원칙  (0) 2021.10.14
7.4 셀룰러 인터넷 접근  (0) 2021.10.14
7.3 WiFi: 802.11 무선 랜  (1) 2021.10.13
7.2 무선 랜과 네트워크의 특징  (0) 2021.10.09
Comments